2025/06 14

해외부동산 취득·보유·임대·처분 시 꼭 알아야 할 세금 보고 의무 - 6월 말까지 명세서 제출 필수

최근 몇 년 사이 해외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부유층만의 자산 분산 수단이 아니라, 중산층도 동남아,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콘도나 주택, 상가 등을 직접 구매하거나 지분투자를 통해 보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특히 글로벌 리츠(REITs), 조인트벤처 형식의 해외건물 투자, 개인 임대업 형태의 에어비앤비 운영 등 해외 부동산을 활용한 수익 모델도 다양해졌다. 그런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해외에 있으니 한국 국세청은 모를 것’이라거나, ‘외국에서만 세금 내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며, 국내에 별도 세금 신고를 하지 않는다. 이건 아주 위험한 오해다.한국 세법은 거주자의 세계소득에 대해 과세하며, 해외부동산은 단순히 투자 대상이 아니라 명백한 ‘과세 대상 자산..

세금 2025.06.27

1인 유튜버가 알아야 할 세무, 세금 기초 가이드

크리에이터 시대다. 더 이상 유튜브는 단순한 영상 공유 플랫폼이 아니다.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고, 광고 수익을 얻는 구조로 자리잡으면서, 유튜브는 곧 ‘직업’이 되었다.특히 수익을 목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사업자 혹은 소득자로 간주된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많은 1인 유튜버들이 ‘취미로 하는 건데 세금과는 무관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이 입금되거나, 콘텐츠에 대한 광고·협찬 수익이 발생하면, 그것은 명백한 ‘과세 대상’이 된다. 특히 한국 국세청은 최근 몇 년간 유튜버, 틱톡커, 블로거 등의 개인 크리에이터 수익 흐름을 추적·분석하는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다.이 글은 이제 막 유튜브 수익..

세금 2025.06.27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국가별 합법 절세 전략 - 글로벌 세금 가이드

디지털 노마드는 더 이상 일부 모험적인 사람들만의 삶이 아니다.2020년대 이후 원격근무가 일상화되고, 온라인 기반의 수익 창출 구조가 다양해지면서,이제 수많은 사람들은 노트북 하나만으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일하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국경을 넘나드는 삶에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있다.바로 '세금'이다. 많은 디지털 노마드가 ‘해외에서 일하면 세금도 안 내도 되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전혀 다르다.국가 간 이중과세, 세법 충돌, 납세의무자의 판단 기준, 세금 회피로 간주될 수 있는 리스크 등은 전 세계 모든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문제다.이 글은 ‘탈세’를 유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디지털 노마드가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세금을 절세하는 방법,즉 법적으로 허용된 절세 전략과 불..

세금 2025.06.26

프리랜서 세금 신고, 처음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절차

최근 몇 년간 프리랜서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노션, 스마트스토어, 탈잉, 크몽, 숨고 등 다양한 플랫폼이 생겨나면서 누구나 개인 브랜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하지만 수익이 생긴다는 건, 동시에 세금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이다. 실제로 많은 프리랜서들이 세금 신고 시기를 놓치거나, 수익 신고를 하지 않아 추후 국세청으로부터 세무조사 통지서나 추징 고지서를 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3.3% 원천징수만 당하고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는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시즌에 무신고 대상이 될 수 있다.프리랜서 초보일수록 “나는 세금 낼 만큼 많이 번 게 아니니까 괜찮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세법은 소득 금액이 아닌 신고 여부 자체를 기준으로 과세의무를..

세금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