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7 3

성실사업자 세금신고 가이드 (2025년 최신판)

사업자는 누구나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하지만 ‘성실사업자’로 분류되는 고소득 개인사업자라면, 일반적인 종합소득세 신고보다 훨씬 더 많은 자료를 요구받고, 신고 기한도 한 달 더 연장되는 등 별도의 세금 관리 체계가 적용된다. 단순한 종합소득세가 아니라, ‘성실신고 확인제도’라는 이름으로 세무 전문가의 검토를 받은 확인서를 첨부해야만 신고가 완료된다. 국세청은 해마다 성실사업자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 사업자보다 더 정밀한 세무관리를 통해 누락·탈루를 막고 있다.그만큼 성실사업자는 신고 과정에서 단 한 줄의 누락도 곧바로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2025년에는 특히 전자상거래, 프리랜서, 전문직 사업자(의사, 변호사 등) 등 다양한 업종의 고소득자..

세금 2025.06.27

해외부동산 취득·보유·임대·처분 시 꼭 알아야 할 세금 보고 의무 - 6월 말까지 명세서 제출 필수

최근 몇 년 사이 해외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부유층만의 자산 분산 수단이 아니라, 중산층도 동남아,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콘도나 주택, 상가 등을 직접 구매하거나 지분투자를 통해 보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특히 글로벌 리츠(REITs), 조인트벤처 형식의 해외건물 투자, 개인 임대업 형태의 에어비앤비 운영 등 해외 부동산을 활용한 수익 모델도 다양해졌다. 그런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해외에 있으니 한국 국세청은 모를 것’이라거나, ‘외국에서만 세금 내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며, 국내에 별도 세금 신고를 하지 않는다. 이건 아주 위험한 오해다.한국 세법은 거주자의 세계소득에 대해 과세하며, 해외부동산은 단순히 투자 대상이 아니라 명백한 ‘과세 대상 자산..

세금 2025.06.27

1인 유튜버가 알아야 할 세무, 세금 기초 가이드

크리에이터 시대다. 더 이상 유튜브는 단순한 영상 공유 플랫폼이 아니다.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고, 광고 수익을 얻는 구조로 자리잡으면서, 유튜브는 곧 ‘직업’이 되었다.특히 수익을 목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사업자 혹은 소득자로 간주된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많은 1인 유튜버들이 ‘취미로 하는 건데 세금과는 무관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이 입금되거나, 콘텐츠에 대한 광고·협찬 수익이 발생하면, 그것은 명백한 ‘과세 대상’이 된다. 특히 한국 국세청은 최근 몇 년간 유튜버, 틱톡커, 블로거 등의 개인 크리에이터 수익 흐름을 추적·분석하는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다.이 글은 이제 막 유튜브 수익..

세금 2025.06.27